본문 바로가기

Berlin

(72)
[20220206] 내가 코로나라니!! 크리스마스, 새해 휴가를 에스토니아로 다녀오고 나서 이틀 후부터 코로나로 열흘 정도를 앓았다. 삼 차 예약을 딱 하루 앞두고 24시간 내내 붙어있었던 얀은 괜찮은데 나만 걸린 걸 보면 얀이 먼저 삼 차를 맞았던 게 효과가 있었거나 잠시 혼자서 정기 검진 갔다가 한 삼십 분 쇼핑하고 왔을 때 뭔가 있었던 것 같다. 처음에는 아침에 어질어질 하고 감기 기운이 있어서 그냥 감기인가 했는데 오후부터 갑자기 너무 춥고 근육통이 심해져서 앉아있기가 힘들었다. 평소에도 독감에 걸리면 나타나는 증상들이니까 조금 심하네 하면서 팀장한테 아프다고 연락을 하고 누웠다. 그리고 나서 삼일 동안 침대에서 거의 나가지를 못했다. 누가 다리 사이, 팔 사이에 큰 얼음을 끼우고 그 한기가 온 몸을 통해 퍼지는 것처럼 너무 너무 추웠..
[20211028] 신나는 독일 병원 투어 - 평발, 턱관절 장애 그리고 염증 독일에서는 보통 회사에 삼 일 이상 못 가서 (회사마다 기준이 다르지만 보통 삼일인 듯) 아팠다는 증명서(?)를 의사에게 받아야 할 때나 뭔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아프다, 감기 증상이 있다 등등 덜 심각한 상황이거나 문제의 원인을 자세히 모를 때 하우스닥터에게 간다. 우리 나라로 치면 의원(?), 가정의학과 정도 되려나. 대부분은 집 근처 한 병원에 하우스닥터 등록을 해두고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을 때마다 들락날락 한다. 예약을 해야 하기도 하지만 문 여는 시간 즈음에 가서 주구장창 기다리면 의사를 당일에 만날 수도 있다. 하지만 의사가 뭔가 이상하다고 판단하거나 내가 좀 더 전문적인 상담을 받고 싶을 경우에는 이건 시작도 아니다. 하우스닥터가 그 분야의 전문의를 추천해주긴 하지만 그 전문의가 그 분야에서..
[독일에서 양악수술] 수술 후 일 년 삼 개월 - 여전히 남아있는 턱관절 문제 이제 교정기를 제거하고, 길었던 수술과 치료의 거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듯 하지만 (교정기를 제거하고도 아직 튀어나온 이 때문에 투명하고, 끼우고 빼기 쉬운 교정 장치를 사용 중이다).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수술 때 심은 핀을 제거할 것인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 그리고 왼쪽 턱 통증의 원인이 여전히 턱관절 장애 때문인 건지 파악하는 것. MRI와 CT를 찍고 Charite에 예약을 하고 수술 후부터 경과를 담당했던 의사를 만났다. MRI와 CT를 보고는 일단은 턱이 다시 개방 교합의 증상을 보이지는 않아 다행이라 했다. 문제는 아직도 남아있는 턱의 통증인데, 역시나 수술 전에 있었던 턱관절 장애가 나아지지 않았고 양 쪽 디스크가 제 자리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라고 했다. 어이가 없을 때 푸흡 ..
[20210902] 독일 층간소음 - 오래된 독일 집들은 종이로 지었나봐요 독일 층간소음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한국 층간 소음이 그냥 커피라면 독일 층간 소음은 티오피 (요즘 젊은 사람들은 모르려나 호호) 집을 무슨 종이로 지었나. 내가 이렇게 종이로 지은 집에 월세를 이만큼이나 내고 살다니.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층간소음이 가능한 집들이 있다. 지금 살고 있는 집은 베를린에서 네 번째 집. 첫 번째 집도 윗 집 사람들이 걸어 다니는 소리가 다 들렸다. 아이들이 뛰어다는 것도 아니고 성인 남성이 걸어 다니는 소리가 정말 쿵쾅쿵쾅 들려서 자주 잠을 설쳤다. 두 번째 집은 윗 집도 윗 집이었지만 같은 층 이웃들에게서 들리는 소음이 어마어마했다. 내 방에서 잠을 청하려고 할 때가 되면 거의 매일 밤 옆 집 사람이 티비를 틀고 영화를 보기 시작했는데 대사 하나 하나가 다 들렸다..
2021년 4월 - 한국에서 돌아오던 날 4월 초에 한국에 들어와서 거의 4월 마지막 날에 출국을 하기로 되어 있었으니까 (이 날짜는 5월 1일로 변경이 된다 하하하하) 한 달 정도를 한국에서, 부모님 댁에서 있었다. 2주 동안 격리를 해서 집에만 있었는데도 넓은 집에서 지내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날씨도 따뜻했고 그래서 삶의 질이 높아지고 그랬다. 돌아오던 그 주의 삼, 사일을 제외하고는 한국에 있는 기간 내내 독일 시간에 맞춰서 일했기 때문에 거의 한 달 가까이 있었지만 그렇게 오래 있었던 것 같지 않았다. 야금야금 시간이 잘만 가서 리턴 티켓에 찍힌 날짜가 다가왔다. 4월은 사실 당시 근무 중이던 회사에서의 마지막 달이었고 5월부터는 새 회사에서 일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동안 쓰지 않았던 휴가를 3일 정도 쓰면 조금 일찍 퇴사가 가능했다..
[해외생활] 어디에서 살까 - 결국 무엇이 중한지의 문제 이제 베를린의 아름다운 여름도 끝난 것 같다. 대부분의 유럽 도시들처럼, 베를린의 여름은 길고 힘들었던 겨울이 기억도 나지 않을 만큼 눈부시고 싱그럽고 러블리하고 막 그렇다. 라이프 이즈 뷰티풀이 절로 나온다. 하지만 이 여름이 길어봤자 삼 개월 남짓이라는 것이 함정. 나머지 구 개월은 축축하고, 눅눅하고, 우울하고, 어둡고 막 그렇다. 유럽 생활이 길면 길어질수록 이렇게 여름의 끝에서 해가 짧아지고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좀 두려워진다. 이제 또 내년 여름이 올 때까지 어떻게 버틸까. 9월이 되자마자 독일 상점들이 거의 바로 크리스마스 관련 용품들을 팔기 시작하는 것이 이해가 된다. 이제부터는 날이 짧아지고, 추워지고, 우울해지는 일만 남았고 그나마 기다려지는 건 크리스마스. 확실히 찬 아침 바람..
[독일에서 양악수술] 수술 후 일 년 어제였나 수술 한지 딱 일 년 되는 날이었다. 천천히, 하지만 많은 변화가 있었다. 처음 한 달은 정말 힘들었고 건더기 있는 것을 먹을 수 있게 되면서 체력을 많이 회복했었다. 세 달째에는 심지어 긴 여행도 잘 다녀왔고 감각도 생각보다 금방 돌아왔었다. 하지만 수술 후 7 달이면 끝난다던 교정을 아직도 하고 있고 재활도 아직 일주일에 한두 번은 꼭 가고 있다. 턱 통증이 매우 최근까지 나아지지 않아서 걱정이 많았다. 얼굴 형태도 생각보다 많이 바뀐 것 같아서 후회도 했다. 한국에서 했으면 미적인 부분까지 신경 써서 해주지 않았을까 하면서 독일에서 수술한 것을 후회했다. 턱에 박혀있는 나사 제거도 할 생각을 하면 무섭다. 그래도 일 년이 지나니까 끝이 보이기는 한다. 교정이 끝나는 날엔 얼마나 홀가분할지 ..
[20210724] 베를린 생활 - 다시 노멀으로 독일이 홍수 때문에 난리라고 하고 태풍이 올 예정이라며 남부 지방은 또 긴장하고 있는 것 같지만 베를린은 내가 아는 한 큰 피해는 없다. 올해 여름은 자주 덥고, 그래서 그런지 유난히 길게 느껴진다. 불평하는 듯 들릴 수도 있지만 전혀 불평이 아니다. 유럽 생활이 길어지면 이렇게 해가 길고 쨍쨍한 날이 많이 많이 소중해진다. 하루하루가 비슷하다. 일하고, 또 일하고 아직도 재활하고 교정 치과 다니고 가끔 산책하는 생활. 얼마 전에 인스타에서 무슨 피드를 읽었는데 뭐 대충 이런 내용이었다. 어제까지 해본 적이 없는 일을 오늘 한 번 해보라고, 경찰서에 들어가서 경찰관들한테 그냥 음료수 하나 건네면서 수고 많으시죠 말 건네는 것, 해본 적 없으면 한 번 해보라고. 매일매일이 같으면 그냥 세월이 빨리 느껴지고..